
韓. 越 近代史 比較 年表
[韓國史 年表]
676년 新羅가 唐군을 격파-반도에서 축출
698년 大祚榮 渤海건국
916년 契丹(거란)건국-耶律阿保機-中國東北 遼河-(947년 遼)
918년 高麗건국
926年 거란 발해멸망
960년 宋 건국(太祖 趙 匡胤)
993년 遼 1차 칩입-서희담판-압록강 동부 회복
1010년 遼 2차 칩입-開京합락
1018년 遼 3차칩입
1019년 龜州大捷-姜邯贊 20만 高麗軍 動員-거란군 대파
1107년 尹瓘-女眞(肅愼,挹婁,靺鞨) 이후 滿洲族-東滿洲地域
1,2차 패전후 騎兵양성후 토벌
1115년 여진족 阿骨打 金건국
1117년 金-高麗 兄弟關係 요구
1125년 金-遙멸망- 高麗에 事大의 禮 강요
1145년 金-南京합락
1196년 高麗-崔忠獻 武人정권 설립~1258최씨정권붕괴
1206년 징기스탄 몽골통일
1227년 몽골 成吉思汗 死亡
1229년 몽골 太宗(오고타이) 황위계승
1231년 몽골1차 침입-撒禮塔 살례탑=사르타크 忠州까지
(선봉=義州-서북최단남하노선) 高麗3軍 몽골군8천에 潰滅 高麗 中央軍의 마지막 전투
1232년 몽골2차칩입-尙州,大邱진출, 高麗 江華遷都
敵將 살례탑, 龍仁-處仁城에서 金允侯와 처인 부곡민에게 사살
1234년 몽골-金을 완전 공략
1234년 蒙古-金멸망
1235년 몽골3차침입- 敵將- 唐古Tanggu-
(1)東京(慶州진출) (2)전북 부안 고란사 진출 (3)경주 黃龍寺탑 불태움
1247년 몽골4차침입- 敵將-阿母侃Amugan-全州진출
1251년 몽골신황제- 멍케蒙哥Monke-高麗高宗의 親 開京還都요구
1253년 몽골5차칩입-敵將 也窟Yegu-충주-부안 진출
1254년 몽골6(1)차침입-敵將 車羅大Charadai-산청 丹溪, 진주진출
1257년 몽골6(3)차침입-敵將 車羅大,보라다이-공주 진출
1258년 몽골6(4)차칩입-敵將 車羅大, 散吉大王 太子入朝 조건 화의진행
1270년 開京還都-三別抄 大蒙抗爭~1273년
1271년 몽골-元건국
1274년 고려.원 1차 일본정별 실패
1279년 元-南宋멸망
1281년 고려.원 2차 일본정벌 실패
1282년 [베트남] 몽고군(원) 침략~1287년
1350년 倭寇猖獗
1356년 恭愍王-反元改革
1359년 紅巾賊-反元 漢族-1차침입
1361년 紅巾賊 2차침입-開京陷落-恭愍王 安東播遷
1365년 辛旽 집권
1368년 明건국-元멸망
1374년 공민왕 사망-우왕즉위
1388년 우왕-明에 대해 철령반환요구(雙城總管府)
1388년 우왕,최영 요동정벌군 5만구성- 이성계 위화도 회군
1392년 고려멸망-조선건국
1414년 [베트남] 중국지배하 편입~1428년
1419년 세종 대마도 정벌
1428년 [베트남] Le왕조 시작
1467년 일본-오닌의 난-전국시대시작
1506년 中宗反正-조선10代 燕山君 廢位
1559년 임꺽정의 亂~1562年
1567년 14代 宣祖즉위 (12代=인종 중종1자,3대=명종 중종2자)
1583년 栗谷 10만양병설
1589년 宣祖22년-鄭汝立 大同契를 謀叛으로-己丑獄事
~1591년 東人犧牲-동서당쟁 격화의 계기 西人 松江 鄭澈주도하 東人迫害
동서당쟁은 壬亂發生의 主原因 東人재득세후
李滉(낙동강 동쪽南人), 曺植(낙동강 서쪽北人)분화 仁祖反正으로 西人재집권
1590년 豊信秀吉 日本統一
1592年 壬辰倭亂~1596년
1597년 丁酉再亂~1598년
1603년 日本 江戶 幕府설립
1615년 [베트남] 프랑스 선교사 활동개시
1616년 (光海君8년) 女眞 추장- 누르하치(奴兒哈赤) 後金 창건
1618년 (光海君10년) 蛟山 許筠 처형
1623년 (光海君15년)仁祖反正-西人정변-光海君 廢位
西人의 親明排金정책 노골화
1627년 (仁祖5년) 丁卯胡亂
[베트남] 베트남- 로마문자표기 시작(Alexandre de Rhodes)
1631년 淸- 明 滅亡
1636년 (仁祖14년) 丙子胡亂 12월부터 이듬해 1월 청나라의 조선에 대한 제2차 침입
淸太宗- 홍타이시 직접출병
1637년 仁祖降伏-소현세자, 봉림대군 볼모
1644년 昭顯世子-淸 도르곤 원정군을 따라 북경입성
1645년 소현세자 淸볼모해제-귀국-仁祖 毒殺說 姜嬪獄事
1649년 인조사망-鳳林大君=孝宗즉위
1654년 孝宗- 漢江 觀兵式 1만3천 동원
1차 羅禪정벌-淸의 强要로 조선 銃手 송화강 진출 러시아 출병
宋時烈등 士大夫의 반대로 북벌정책 무용화
1658년 효종9년 2차 나선정벌-조선 銃手200 송화강파견-러시아군 270전사
1659년 孝宗急逝- 효종의 장자-顯宗즉위 南-西人 당쟁- 국력쇠퇴
1674년 肅宗즉위(~1720년) -前代未聞의 당쟁격화
[숙종연간이후 당쟁 흐름] 즉위연간=南人득세
1680년 許堅 逆謀-南人失脚-西人집권
1689년 張禧嬪의 子 景宗세자책봉문제-南人(己巳換局)
1694년 閔妃복위로 南人 全滅 西人(老論,小論) 재집권 甲戌換局
1716년 老論득세-小論박해
宋時烈 告廟論難/壬戌三告變/尊明義理/北伐論
宋時烈 尹拯간 懷尼是非 南人分化(淸南, 濁南)
尹鑴, 許積, 李元楨, 宋時烈, 金壽恒,朴泰輔 살해
1721년 경종즉위
1724년 英祖즉위-숙종의 왕자로 탄생한 바, 모친은 賤出
노론의 지원으로 왕세제-왕 蕩平策-分等說, 兩治兩解,雙擧互對
-> 有材是用-南人,北人 登用
1726년 사도세자 (莊祖) 피살
1760년 청계천 준설(20만명동원)
1776년 正祖 (祘) 母=혜경궁 洪씨, 즉위- 奎章閣 설치
1780년 연암 박지원 熱河日記
1788년 [베트남] 중국격퇴
1802년 [베트남] Nguyen 왕조 개막~1945년/Gia Long최초로 Vietnam명칭
1841년 [베트남] Tu Duc황제~1847
1858년 [베트남] 프랑스 해군 다낭과 사이공 점령.
1862년 [베트남] 뜨득황제 항복-사이공 조약 체결
1863년 高宗즉위-興宣大院君 집권
1866년 丙寅洋擾-프랑스 함대 침범
1871년 辛未洋擾-미국 아시아 함대침범
1875년 雲揚號 사건
1876년 丙子修護條約-江華島조약-일본에 부산,인천,원산 개항
1882년 壬午軍亂
1883년 [베트남]
제1차 후에조약(계미조약) 베트남 프랑스의 보호령이 됨.
이후에 응우옌 왕조가 있던 중부는=안남 으로 호칭
실권 없는 명목상 황제의 자치 허용하
북부= 통킹으로 명명/ 남부= 코친차이나라는 명칭을 부여
1884年 甲申政變
1885년 [베트남] 프랑스-중국간 조약체결
1887년 [베트남] 프랑스- 인도차이나 유니온(캄보디아포함) 결성
1888년 [베트남] “함응이” 황제 광평에서 11월에 프랑스군에 피체
알제리에 유배
1889년 [베트남] 타인타이 황제가 10세의 나이 즉위
1890년 [베트남] 호치민 탄생
1907년 [베트남] 타인타이 9월, 프랑스의 압력으로 퇴위 아들 주이떤 에 양위
1894년 甲午農民戰爭-전라 古阜(井邑) 동학운동
1895년 乙未事變
1897년 大韓帝國
1904년 韓日 議定書 締結
1905년 乙巳條約
1906년 統監府 設置- 신돌석 義兵 蜂起
1907년 국채보상운동-고종 강제 퇴위-순종 즉위
1909년 安重根 義擧-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년 韓日合倂-國權被奪 朝鮮總督府 設置- 日淸 間島協約
1912년 토지 조사 사업 공포
1914년 대한 광복군 정부 조직
1차세계대전 발발
1919년 高宗 昇遐- 3.1 독립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20년 홍범도 봉오동 전투-김좌진 청산리 대첩
[베트남] 호치민 프랑스 공산당 가입
1922년 방정환- 색동회(일본 유학생 모임)가 5월 1일 어린이날 제정
1925년 [베트남] 카이딘 황제 사망, 바오다이 귀국 즉위-프랑스 유학
1926년 純宗 死亡 (조선의 27대 왕,조선의 마지막 왕)- 6.10만세 운동
1927년 新幹會 組織 (항일 운동 단체)
1929년 11월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32년, 이봉창 의거, 윤봉길 의거
[베트남] 바오다이 황제 귀국
1934 진단 학회 조직(한국과 주변 나라의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모인 학술단체)
1936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대회 우승
남승룡,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동메들 획득
1937 中日戰爭 -1945년
1938 한글 교육 금지
1940 창씨 개명 시행(일본식 이름과 성을 갖게 하는 일)
한국 광복군 창설
[프랑스] 독일에 항복- 비시 정권 수립
[베트남] 일본군 베트남 북부 진출
1941 [베트남] 일본군 베트남 남부 진출
[베트남] 베트민 창립- 공산주의자 중심
1942 조선어 학회 사건(우리말을 연구하는 조선어 학회 회원들을 투옥한 사건)
1945 3월
[프랑스] 비시 정권 몰락
[베트남] 일본군-베트남 프랑스군 제압- (明号作戰)- 베트남 제국수립
1945 세계 대전에서 일본 패배로 해방, 8.15광복
[베트남] 8월 Viet Min(월맹) 민족해방위원회 구성- 호치민 임시정부
[베트남] 9월 북위16도 이북=중국 국민당 군 진주/이남=영국군 진주
1946 [베트남] 프랑스-월맹 협정
[베트남] 11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발발~1954년
1948년 5.10 총선거 대한민국 정부수립
1950 6.25 전쟁 발발
1951 [베트남] 호치민 베트남공산당 창립
1953 7월 27일 휴전 협정
1954 [베트남] 월맹군-디엔비엔푸 전투 종료- 프랑스 철군
1955 [베트남] Ngo Dinh Diem베트남 공화국 대통령 취임
1957 우리말 큰사전 완간
1960 3월 15일, 3.15 부정선거
4월 19일, 4.19 혁명- 이승만 대통령 하야
1961 5월 16일, 5.16 군사 정변 5월 18일, 장면 내각 총사퇴
1962 1962~1966 '1차 경제 개발 5계년 계획"
1963 1월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 박정희 정부 수립
1964 미터법 실시(길이는 m로 무게는 kg으로 하는 것)
[베트남]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발발 ~1975
1965 6월 22일, 한일 협정(한국과 일본이 기본 조약을 맺음)
1966 한미행정 협정
1967 5월 3일, 6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대통령 당선
6월 8일, 국회의원 선거
1967 '제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69 12월 5일, 국민교육헌장 선포
7월 21일, 경인 고속도로 개통
[베트남] 호치민 사망
1970 경부 고속도로 개통
1971 서울-부산 전화 개통
7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대통령 당선 국회의원 선거
[베트남] 미군 철군 개시
1972 1972~1976 '제 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7.4 남북 적십자 회담 - 남북공동성명
10월 유신 -> 12월 27일 유신헌법이 공포
1973 6.23 평화통일 선언 남북한 UN 동시 가입 호남 고속도로 완공
남해 고속도로 개통
[베트남] 1월 파리평화협정_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휴전
[베트남] 3월 미군철수 완료
1974 서울 지하철 개통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피격당해 서거
북한 땅굴 발견
1975 동해 고속도로 준공 3월 제 2 땅굴 발견
대통령 긴급조치 9호 발표
[베트남] 4월30일 월맹군 사이공점령
10월 영동고속도로 신갈에서 강릉구간 개통
1976 8월 18일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8 [베트남] COMECON가입, 캄보디아 침공
1979 [베트남] 중국- 등소평- 베트남 침공
1989 [베트남] 베트남 캄보디아 철군
1992 [베트남] 한국 수교
1995 [베트남] 아세안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