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은유로서의 질병, 수잔 손탁

eyetalker 2006. 4. 8. 18:22
SMALL
 

은유로서의 질병 Illness as Metaphor

Susan Sontag. 1977, 1978


책이 소개하는 저자;


1933년 생 수전 손탁. 에세이스트, 소설가, 예술평론가.

대중문화의 퍼스트 레이디, 새로운 감수성의 자제, 뉴욕지성계의 여왕

예술에 온 정신이 팔린 심미주의자, 열렬한 실천가


미국펜클럽 회장당시(1988년) 방한, 구속문인 석방촉구

1993 사라예보 내전시 사라예보에서 고도를 기다리며 공연

9.11 미국무역센타 폭파서건시 미국정부의 태도 힐난


주요저서: 해석에 반대한다.


역자의 프롤로그;

질병은 질병이며 치료해야할 무었일 뿐.

1939년 수잔 다섯 살에 아버지는 결핵으로 사망.

어머니는 부친의 죽음을 숨기고, 사인을 숨기고, 묘터의 위치를 숨겼다 한다.

1976년 본인이 유방암 진단.


수잔은 질병에 들러붙어 환자의 재활의지를 꺽는 낙인, 은유, 이미지에

저항하는, 의학적, 지성적 투쟁을 전개

1976년 유방절제수술과 화학요법을 받고 완치.


이후 그녀는 질병을 대하는 태도, 신비화하는 언어를 추방하고자 노력

그 성찰의 결과가 바로 이 책, ‘ 은유로서의 질병‘, ’에이즈와 그 은유’이다.


친구가 에이즈로 죽엇다는 전화를 받고 쓴 글은 “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방법‘

이라는 단편이다.


에이즈와 결부된 ‘역병’이라는 은유에 이의를 제기. 즉 에이즈를 도덕적 타락에 대한 천벌로 박아들이게 하고 종말론, 숙명론을 부추긴다는 것.


다시 자궁암을 거쳐 회복한 그녀.


‘일단 사형선고를 받고나면 당신은 태양도 죽음도 똑바로 쳐다보지 않으려 할 겁니다. 당신의 마음은 슬픔으로 가득 찹니다. 그러나 당신의 마음속에는 끊임없이 강해지고 깊어지는 뭔가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걸 생명이라고 부릅니다.“


낭만주의적 예술가들의 질병에 대한 이해;

그들은 질병이 천한 육체를 분해하고 인격을 영묘하게 만들며 의식을 확장시켜준다는 새로운 지식을 통해 죽음을 교화했다. 질병이란 정념(passion)으로 가득 차 있을 때에 나타나는 것으로 아름다움과 창조성을 가져온다는 것.


“내가 운좋게 회복된다면 , 이 열정이 나를 죽일 겁니다.” 키츠

“우울증 때문에 생기는 발작적 경향은 완벽한 아름다움과 결코 분리될 수 없을 것입니다.”(포)

“나는 정신적으로 아픕니다. 페속의 질병은 내 정신적 질병이 넘쳐 흐른 것에 불과한 것입니다.” (카프카)



은유의 속박이 대표적으로 나타난 질병, 결해과 암에 대한.


관상동맥질환자와 결핵이나 암환자에 대한 사회적 태도가 다른것은 왜인가?

결핵과 암에 달라붙은 은유들은 뭔가 반감을 불러 일으키고 불괘감을 유발하는 생활방식이 있다.


결핵과 암에 붙은 은유의 근원.. 무척 심란한 분석이다.

‘그렇다‘고 믿어지고 있는 것들


결핵:증상이 현저하다, 신체가 투과되는 것 처럼. 다행증, 식욕증진, 격렬한 성욕, 몸의 붕괴, 발열, 시간의 질병, 소모하고 질주한다. 빈곤과 결핖(라보엠)

고지대, 습기없는 지역으로 요양 권유. 고통없는 질병.

기품있고 평온한 죽음

위치상 영적 접근성-폐-이 있는 장소

사랑이라는 질병의 변형

욕구불만의 폐해

결핵에 걸리는 것은 낭만적이라는 관념

결핵을 둘러싼 환상이  지식으로서 수용

결핵의 낭만화

결핵에 걸리기 쉬운 성격 유형이 있는가?

격정적이면서 억압된 사람들.


암: 비정상적 종양이다. 성욕상실, 신체조직 딱딱하게, 천젗히 진행한다. 게으름과 태만의 은유. 환경의 변화를 억제. 격심한 고통.

수치스럽고 고통스런 죽음

부끄러운 신체부위에 발생

결핍된 열정의 질병

억압의 응보


결핵은 자주 미화되어 왔으나 암을 미화한 예술가는 발견하기 힘들다.

결핵과 광기; 감금을 유발한다.

질병은 신의 분노를 표상하는가?


질병이 성격을 노출한다는 낭만적 관념은 성격이 질병을 일으킨다는 주장으로 확산된다.

‘환자 자신이 병인인 바 우리는 다른 병인을 찾을 필요가 없다.’


결핵을 둘러싼 신화와 암을 둘러싼 신화는 모두 개인이 자신의 빌병에 cpr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암을 둘러싼 이미지가 더욱 인과응보적 성격을 지닌다.

발암성 성격유형이라?


질병에 대한 가설;

모든 사회적 일탈행위는  질병으로 간주될 수 있다

모든 질병은 심리적으로 설명가능하다.


질병을 심리학작으로 다루는 이론은 환자를 비난할 수 있게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병에 걸릴만한 짓을 저질렀다”


성적혐오와 정치적 혐오를 특정질병에 투영하는 행위에 대하여.



결핵: 연약함, 감수성, 슬픔, 무력함,편협,의지부족, 지나친 긴장, 비애감.

암: 냉혹하고, 무자비하고, 타인의 희생을 초래한, 전쟁의 언어

‘암세포의 침략’


현대의 전체주의 운동은 좌, 우파를 막론하고 질병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나치: 여러피를 가진 인종적 혈통을 ‘매독’환자 같은 자로 비난

트로츠키: 스탈린주의는 콜레라, 매독, 암이다.

히틀러: 유대인은 인종적 페결핵을 낳는다.

중국의 4인방은 중국의 암이라고 불렸다.

이스라엘은 아랍세계 한가운데의 암이다.


[결어]

질병이 이해되고 완치되는 비율이 높아질 수록 암을 둘러싼 언어는 변화할 것,

치료법을 둘러싼 언어가 군사적 은유에서 신체의 자연적 방어력의 ,면역능력의 특징을 보여주는 은유로 변화되어 갈 수록 암은 어느정도 탈신비화할 수 있을 것.

끔직한 그 무엇을 암에 비유하지 않도록 될 것.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