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讀

상식 밖의 경제학. 댄 애리얼리.

eyetalker 2011. 4. 10. 23:06
SMALL

상식 밖의 경제학

Predictably Irrational, Dan Ariely (댄 애리얼리)

예상한 바, 불합리한이란 뜻의 제목이다.

 

다양한 경제론, 해설서 중 근작이다.

 

내가 내리는 (경제적) 선택이 이성적이지도 않고, 합리적이지도 않으며 그저 그럭저럭 대충대강 의 맘가는대로의 선택이며 결과적으로도 별로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주장이다.

 

비교를 이용한 상술이나, 앵커링 효과에 의한 기만, 공짜의 이유 같이 비교적 가벼운 주제로부터 시회규범과 시장규칙의 문제와 그 미묘한 균형에 대한 논점등 상당히 유용하다.

고정관념이 판단에 미치는 영향이나 마음의 힘에 대한 해석,

 

p. 42 사람들은 비교대상이 주변에 있으면 당신이 얼마만큼 잘났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p.57 톰은 인간행위의 가장 위대한 법칙 가운데 하나를 알아냈다. 인간으로 하여금 뭔가를 갖고 싶도록 만들려면 그것을 손에 넣기 어렵게 만들면 된다.

 

P.81 . 우리 삶에 스며있는 각인과 앵커를 낱낱히 헤아려 보아야한다.

 

P.105 공짜는 할인의 한 형태가 아니다. 그것은 다른 위치에 있다. 2센트와 1센트의  차이는 적지만 1센트와 0센트의 차이는 엄청나다.

팔 물건 가운데 공짜로 내놓는 것이 있어야 한다..

 

P.110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가 2개의 세계, 즉 사회규범이 우세한 세계와 시장규칙이 우세한 세계를 동시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P.112 사회규범과 시장규칙을 잘 구분해서 지키면 인생은 만사형통이다.

 

 

P115. 사회규범에 따라 작업을 할 때 사람들은 더 열심히 일했다. 사람들은 돈이 아닌 명분때문에 더 열심히 일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예는 수없이 많다.

 

P.117 값이 드러난 선물은 참가자들을 사회규범의 세계에 머물도록 하지 않고 시장규칙의 세계로 들어가게 했다.

 

P.118 시장규칙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돈이라는 말을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p.122 사회규범과 시장규칙이 충돌하면 사회규범이 밀린다.

 

p.132 돈으로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가장 값비싼 방법이다.

 

p.194 소유의식에는 내가 특이성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우선 한 대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수록 소유의식은 더 강해진다.

 

p.212 누구에게나 크든 작든 단호하게 닫아야할 문이 있다. 이처럼 쓸모없는 가능성을 좆는 비이성적인 강박관념..

 

 

 

2011410일 일요일

소래포구/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