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讀

야망과 선견의 사장학(2)

eyetalker 2006. 9. 29. 14:43
SMALL

 

 

야망과 선견의 사장학(2)


제4장 5년후


1.사장의 야망과 역할의식

 

사장의 역할은 첫째로 , “장래의 방향결정”이며

둘째로, “관계자에 대한 부가가치분배”에 있다.


2. 부가가치분배 목표계획

배분처;

사원배분: 급료,상여,복리후생, 즉 일반적으로 발하는 인건비

경영배분: 고정비, 변동비등 손익계산서의 일반경비

재생산배분: 감가상각비,소모설비,기계교환 재생산을 갗추기 위함.

선행투자배분: 연구개발비나 신업종에 대한 조사비용

금융배분: 금융기관에 지불할 금리-손익계산서의 영업외손익

안전배분: 대손충당적립, 고정자산매각손,불량재고자산결손

          특별손익, 매각손익

사회배분: 지방세, 사업세,법인세등

자본배분: 결산상 배당금등 자본가에 대한 배분

경영자배분: 임원보수, 상여

축적배분: 저축배분, 차감내부유보


제5장 5개년 이익계획의 수립


成長係數의 파악:  기업매출신장/GDP신장 x 100%

* 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국내총생산)

보통의 평균적 성장 대비 회사의 성장 신장율.

아니면 회사는 사양화.


기업의 총자본이익율이 시중금리이하라면 기업으로서

존재가치를 의심해야한다,

매출신장이 GDP이하라면 그것은 평균이하.



제6장 장기인건비계획의 수립

 

제7장 장기설비계획의 수립

-사장의 감가상각에 대한 이해

 

선후를 가리지않고 난폭한 투자를 하고 나중에 경리를 탓하지 않도록.

설비투자는 그기의 감가상각액과 동일한 수준으로.

상각연수가 긴 설비에 대한 투자와 짧은 설비에 대한 투자를

선별하여 상황에 따라 처리.


제8장 필요자금을 확인한다.

 

1. 사장의 운전자금계획수립


우리회사의 대차대조표는 그 장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


회상매출채권의 적정회수율

적정재고

시재현금의 적정액

매입채무의 적정지불율


- 외상매출채권 회수율에 대한 사장의 마음가짐


대차대조표의 좌측, 자금의 사용을 나타내는 ‘流動資産‘에는

매출채권( 받을어음과 외상매출금)

현금예금

재고자산 의 항목이 있다. 대부분의 회사는 이 3가지가

유동자산의 9할을 점한다.


외상매출채권이 기말에 제로가 되는 것은 기초에 남아있던 것과

당해기분을 전부 회수한 것이 된다.

즉, 당기회수율은 다음과 같다.


=당기회수액/(전기이월+당기매출액)    x 100


자산계정의 증가 = 항상 금리와 관계하여 생각


외상매출채권 회수율이 악화되면 부가가치배분에서 금융배분의

비율이 증가한다.


- 재고의 적정도 체크


재고기준으로 ‘상품회전율’을 들고 있으나 이것은 연매출액을

기준으로 하고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지않는 잘못된 것.

부가가치율이 줄면 금리의 배분비율이 늘어나므로 그만큼 다른 곳의

배분비율을 삭감해야한다. 즉, 부가가치율이 줄었다면 재고를

줄이고 금리를 줄이는 것이 사장으로서의 방법이다.


재고회전율= 기말재고/월간부가가치(월)

월간부가가치= 매출총이익/12개월

적정재고는 부가가치의 4개월분이다.

= 여분의 자산감소= 여분의 금리감소


재고가 많은 회사는 여지없이 부가가치의 6-7개월분을 재고로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 현금은 얼마나?


현금비율은 30% 이상?

유동자산중 손쉽게 자금이 되는 현금,예금이 유동부채의

3할이상 필요하다.


- 회수율과 지불율의 차이에 주의


외상매입채무에 대해서는 외상매출채권과 반대.

지불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지금조달이 적어도 된다.


[만약, 지불율이 100%라면 회수율도 100%가 조건이다]


자금운용측면에서 보면 지불율은 회수율보다 원칙적으로 낮아야한다.

상사처럼 매출총이익율이 낮은 업종의 경우 회수율보다 지불율이

높으면 매출이 증가할 수록 운전자금은 점점 증가한다. 

회수율 보다 높은 경우 지불율을낮추는 교섭도 생각해야한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하면 [저 회사는 위험하구나] 하는 오해를

사기 싶다. 장기간에 걸쳐 시행해야.

 

2. 경영기본계획의 수정

- 당초계획과의 차이 확인, 수정

- 세금의 실증작업

3. 자금운용계획으로 돈의 흐름을 체크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이어주는 것


자금의 원천: 세금공제전이익과 자금지출이 없는 경비항목

             + 증자, 장기차입금 = 1년간 자금운용의 원천


4. 재무계획으로 정리


재9장 장기경영계획의 실천


1. 전사적 추진태세

-사장의 경영비전없이 회사의 일체감은 없다.

 사장의 열렬한 사고를 냉정하게 수치화한 실현가능한 꿈.

-각 부서장에 대한 지시


2. 발전에의 호순환 사이클을 만든다


-성취감이 인재를 키운다

자기계획의 실천을 통한 성취감이 인재를 육성한다.


-사장은 호순환 사이클을 만드는 사람이다

기업성장의 비결은 능력향상과 보다 높은 목표설정이라는 나선형

호순환사이클을 사장이 어떻게 만들어 가는가이다.


회사를 크게 키우는 데는 <크게되게하는 방향결정>이 사장의

최대역할.

 

회사전체의 능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사장의 참 통솔력.


- 사장능력의 호순환 사이클


- 野望이 先見으로 변할 때.

세련되지 않은 개인적 야망과 욕심은 사장의 역할의식과 숫자의

약속으로 연마되어 불확실한 미래가 확실한 미래로 바뀌는 것.


10장 꿈을 실현시키는 사장의 조건


1. 역할의 자각

사회에 대하여, 사원에 대하여, 주주에 대하여, 금융기관에 대하여.


2. 미래의 흐름을 예측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어떤 사업을 해야하는가? 사장의 선견력

이 필요하다.


3. 마땅찮은 정보일수록 귀중하게 생각

불리한 정보, 귀에 거슬리는 정보속에서 우리회사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생각하는 용기가 없으면 안된다. 


4. 모순된 것을 머리에 넣어두는 습관

5. 運은 준비된 사람에게만 잡힌다.

6. 사풍은 사장이 만든다.

7. Give & Take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사장은 언제나 우선 상대에게 Give

하고나서 Take를 생각하라는 것.

 

8. 자신의 실패를 인정하는 용기

9. 자신의 생각을 수치화하는 습관

   사장의 경영방침을 전사원에게 바르게 이해시킨다.

   사장의 경영사고, 경영능력을 강화한다.

 

10. 결론을 미루지 않는 습관

 

사장의 우유부단은 백해무익이다.

즉석에서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평소에 생각하고 있지않으면

판단이 안된다.

 

11. 문제의 본질을 파악

제한된 시야를 벗어나는 노력

 

12. 신념보다는 집념

신념: 어떤 교리,이상을 굳게믿고 움직이지 않는 마음.

집념: 생각대로 움직이않는 일념.집칙해서 떠나지 않는 마음.

 

이상.

 


LIST

'雜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독, 유목적 사유의 탄생, 이정우  (0) 2006.10.23
지구의 삶과 죽음, 피터 워드  (0) 2006.10.02
빛의 제국, 김영하  (0) 2006.09.20
The Alchemist, Paulo Coelho  (0) 2006.09.16
빛의 도시, 야콥 단코나  (0) 2006.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