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讀

불교입문 1.

eyetalker 2007. 5. 9. 13:59
SMALL
 

[불교입문]


高崎直道(다까자끼 지끼도)/洪思誠 편역/1988년 우리출판사

저자=1926년 생/ 동경대 인도철학과 졸/ 동경대 교수


목차


제1장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란 말뜻

   .佛陀 釋迦牟尼

   .불교= 부처님의 가르침 = 法, Dharma= 佛法

   . 불교는 목적적으로 ‘부처님이 되기 위한 가르침’이다


[불교의 삼요소(佛,法,僧)

   . 부처님이 존재하고, 그의 깨달음을 설법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부처가 되기 위한 도를 실천수행하는 사람들의 집단, 僧伽=僧


   . = 교주, 교리, 교단



[三寶에의 歸依

   . 삼보는 불교의 가장 기본적 신앙의 대상

   . 삼보에 대한 귀의의 표명=구절의 암송

     南無佛陀, 南無達磨, 南無僧伽


   . 왜 삼보는 귀의할 가치가 있는가?

     = 佛은 兩足中 兩足尊(=높을 존=가장 훌륭한 때문)

     = 法은 탐욕을 떠난 청정함 가운데 가장 훌륭함(=離欲尊)

     = 僧은 공동체중 가장 훌륭함(=和合尊)


[법의 절대성

현재 불교도는 本尊으로서는 불상을 안치하고, 그 앞에서 경문을 외우는 형식으로 불과 법에 동시에 귀의를 한다. ‘승’은 출가수행자를 지칭하고 있으나 귀의의 대상으로서는 인간의 理想像으로서 보살, 나한, 역대 조사를 모시는 형식.


불법승은 구극적으로는 하나의 가치로 귀착한다= ‘법‘이외는 없다.

‘불‘이 ’진리를 깨달은 자‘인 이상, ’깨달은 진리=법‘은 절대적


불교의 특질을 한마디로 하면, “ 진리와 하나가 된 절대와의 합일‘을 목표로 한다.

 


[대승과 소승

.한국불교= 대승불교

.스리랑카불교= 장로불교= 상좌부불교


* 대승불교=부처 입멸5백년후의 개혁운동의 결과. 가르침도 부처가 직접설한 것이 아니다.

          =大乘非佛說


대승불교가 ‘소승‘이라 부르는 것은 출가자가 자신들의 깨달음만을 목표로 수행하고 재가불자들을 돌보지 않는 다는 비난이 포함된 말. 즉, 소승= ’部派의 교설’


* 부파의 교학= 阿毘達磨:abhidharma. 다르마, 즉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 法의 연구.

      1. 說一體有部 (= 유부의 교학)

         바스반두(世親) 가 쓴, 俱舍論= 소승교서


      2. 팔리어불전(스리랑카불교)


[불교의 성전

부처 입멸후 제자들이 스승 생전의 가르침과 교단의 규칙을 정리한 것=

결집.

法=진리에 대한 가르침

律=교단의 규칙


.‘아비달마’의 성립

 法=가르침의 기본= 經 = Sutra

 아비달마= 論 = Sastra

 三藏=tripitaka = 경,율,론의 총칭. 모아서 정리한 그릇


법또는 경은, 원래 부처님의 입을 통하여 전해진 것= 金口說法= 아함(Agama)


.아함경= 長,中, 雜, 增一. 4가지로 구분



모든 경전은 ‘如是我問’으로 시작해서 ‘皆大歡喜 信受奉行’으로 끝난다.

이 형식을 지킨 것은 모두 경으로 포함되고 경장속에 포함.


제2장 부처님의 생애


[불타석가모니


석가모니: 釋迦 (히말라야 산록 네팔지역에 살았던 ‘샤카‘族 출신) +

          牟尼 (寂黙의 성자, 세속을 떠나 고독한 수행하는 성자)

* 깨닫기 전의 석가 = ‘보살‘이라고 칭함.


[불전(佛傳)

① 룸비니에서의 탄생

② 붓다가야 보리수 아래서의 깨달음

③ 녹야원에서의 최초의 설법

④ 쿠시나가라에서의 입멸


[탄생

불전에 의하면 부처는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 도솔천에 있다가 룸비니 동산에 하강하여 마야부인의 태중에 들어갔다한다. 마야부인의 태몽은 ‘흰 코끼리’가 태내에 들어오는 꿈. 부처는 오른쪽 옆구리를 열고 탄생. 칠보를 걸으며 ‘天上天下 唯我獨尊’ 외침. 아시타 선인 曰

, 이 아이는 轉輪聖王 아니면 부처님이 될 것이다. 예언.


탄생일주일 만에 모친 사별. 이모/계모인 마하프라자파티 부인이 양육


농부가 밭갈이하는 광경을 구경하다가, 파헤친 땅에서 나온 벌레를 새가 쪼아먹는 광경목도-> 삶의 괴로움. 人生無常觀, 苦觀의 심리적 동기.


[출가

‘아쇼다라’와 결혼- 아들 ‘라훌라’ 탄생

29세 출가.= ‘四門’Samana ; 도를 닦는 사람‘ 이 됨. = 걸식자 (bhikkhu, 비구가 됨)


[수행


① 無所有處 

‘스스로에게 속하는 것은 없다’

‘자손이나 재산은 물론 소유물까지도 갖지 않는,모든 욕망을 버리는 것’

-> 정각에 이르는 길은 아니다, 떠남


② 非想非非想處

 표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삼매의 세계

 -> 만족치 못함, 떠남


③ 苦行林에서

   바라문들의 ‘難行苦行’-> 斷食.  6년의 苦行 中斷


④ 선정= 요가(Yoga), 에 들어감.

   “욕락과 고행의 양극단을 버린 中道”



[성도


선정후, 곧 ‘마음속에 있던 모든 고뇌가 사라지면서 커다란 기쁨이 충만’

= ‘모든 악마를 항복받고 승리함‘ = 降魔

‘요염한 미녀의 유혹, 무서운 군병의 위협’

= 진리 (Dharma,法)을 보다. = 깨달음(悟, 覺) = 보리(Bodhi)= 成道

* 그 나무‘ 핖팔라’ = 보리수(菩提樹)

* 부처의 깨달음 = 고뇌와 그 원인에 관한 ‘緣起의 法理’

* 출가동기 =


인간은 왜 괴로움 속에서 살아야 하는가?

그 괴로움이 생겨나는 원인은 무었인가?

=‘인간은 무엇인가를 항상 얻으려하고 그칠줄 모르는 근원적 욕망이 존재한다‘



[초전법륜


세계의 주재자, ‘梵天’의 권청 ;

‘원컨대 이 감로의 문을 열고 청정무구한 분이 깨달은 진리를 들려주시오’


“나는 일체를 깨달은 사람이다. 일체의 사물에 더렵혀 지지 않으며 妄執에서 벗어난 해탈자이다. 내가 세상에서 유일한 正覺者이다. 모든 번뇌를 버린 사람은 나와 같이 세상의 승리자이다. 미혹의 세계에서 감로의 북을 치며 법륜을 굴리기 위해 나는 바라나시의 거리로 향한다.”


* 6인의 阿羅漢 : 존경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

 = 초전법륜 = 교화활동= 전차를 전진 정복통치활동에 비유.


[교단의성립

[교단의발전

[유명한제자들

[승원제도의 확립

[자자(自恣)와포살(布薩)

[입멸(入滅)


= ‘죽음으로 인해 육체를 버림으로써 부처님이 완전한 이상경, 평화, 寂靜의 계에 들어간 것‘(涅槃寂滅)

= ‘죽음은 육체적 제약을 벗어나는 행위



‘비구들은 내가 입멸한다고 해도 남에게 의지하지 말고 자신에게 의지해야 할 것이며 진리에 의지하여 수행한다면 높은 경지에 이를 것이다.’


[사리분배

유골화장후 사리분배= 8개의 “佛舍利塔”

                   = 한 개의 ‘甁塔’

                   = 한 개의 ‘恢塔’

.불교의 탑 (stupa)탄생 = 불탑신앙


[결집

.如是我聞의 암송= 合誦



[不滅연대


제3장 불타의 본질


[부처님의 칭호

. 如來= 대사문(마하사마나)

. 바가바트(Bhagavat)=世尊

. 샤카무니= 석가족의 성자

. 고타마

. 大仙, 자이나(勝者), 마하비라(大雄)

.아라하트= 아라한



[여래10호

①如來= 진리의 체험자

②應供= 아라한

  * 대승불교의 흥기이후 의미 변전발생= 아라한은 불.세존과 동의어가 아니라 소승 수행자의 도달 가능한 최고위.

③正遍智=(정변지) 정등각자

④明行足=지와 행을 겸비한 자

⑤善逝=행복을 얻은 사람. 불교도를 인도에서는 간혹 Sauhata라 칭함

⑥世間解=세간의 모든 일을 잘 아는 자

⑦無上士=최상의 인간

⑧調御丈夫=사람들의 잘못된 생각을 조복 제어하는 사람

⑨天人師=신들과 인간의 교사

⑩佛.世尊=깨달은 사람. 세사에서 존경받는 분.


-> 초기 제자들은 부처님을 인간의 성자, 교사로 인식했을 뿐 신이나 절대자로 파악한 것은 아니었다.



[佛과 여래

여래 10호의 명칭 가운데 불타의 본질을 나타내는 술어로 가장 중요한 것은 

佛 과 如來이다.

* 佛=붓다=覺者이며 깨달았다는 과거분사에서 유래

* 如來= 이와 같이 온자

 


[불타의 전생

부처가 됙 위한 수행= 부처의 신격화로 = ‘六度萬行’의 수행=‘보시’에서 ‘반야’에 이르는 6바라밀.

= 佛德= 18 不共佛法을 구비하여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모습 확보(32相)


* 18 不共不法 (아함경)

10力: 부처님 특유의 10가지 智力

      ① 도리, 비도리를 판별하는 힘

      ② 법과 그 과보의 관계를 아는 힘

      ③ 여러 가지 선정에 통달한 힘

      ④ 중생의 근기를 아는 힘

      ⑤ 중생의 욕구와 이해정도를 아는 힘

      ⑥ 중생의 성격을 아는 힘

      ⑦ 업에 따라 생기는 세계를 아는 힘

      ⑧ 과거세의 기억을 아는 힘

      ⑨ 미래를 예견하는 힘

      ⑩ 번뇌가 다해서 해탈을 자각하는 힘

 

 4 無畏: 부처님이 다음 네가지 점에서 두려움을 갖지 않는 것

① 일체 모든 법을 평등하게 깨달아 다른이의 힐난을 두려워 하지 않음

    正等覺無畏

② 온갖 번뇌를 다 끊어 외난을 두려워 하지 않음

    漏永盡 無畏

③ 보리를 장애하는 것을 다 알아서 다른 이의 비난을 두려워 하지 않음

    說障法 無畏

④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는 요긴한 길을 표시해서 다른 이의 비난을 두려워

   하지 않음

    說出道 無畏


三念住= 부처님은 다음의 경우 정지정념을 가지고 있음.

① 중생이 부처님을 신봉해도 환희심을 내지 않고 마음이 평정한 상태

② 중생이 한결같이 귀 기울여 설법을 듣지 않아도 마음이 태연한 것

③ 한 곳에서 하나는 열심히 듣고 하나는 전혀 듣지 않아도 기뻐하거나 근심하지 아니하는 것


大悲= 부처님은 항상 중생의 고난을 구제하겠다


[삼세의 제불

석가모니 부처님이 탄생전에 ‘도솔천’에 살았다는 전설

차기 부처가 될 보살도 현재 ‘도솔천‘에 있음=’一生補處보살‘ = 나머지 일생동안 윤회전생에 속박되어있고 다음 생은 해탈하여 부처가 된다


차기 부처가 될 보살= 彌勒 (Maitreya)이다. = 56억7천만년 후 용화세계에 탄생하는 바, = 불교의 ‘미래불 사상’


[시방의 제불


과거에서 미래에 걸쳐 무수히 많은 부처님의 존재를 상정하는 것과 함께 ‘공간적’으로도 무한한 세게를 예상.


한편 석가모니의 설법이 미치는 범위의 세계 = 娑婆世界=Sabhalota-dhatu.

사바세계는 고뇌가 많은 세계로, 穢土 (더러운 땅)

이에 반해 十方 (동서남북 사방과 그 간방에 다사 상하방을 보태면 10방)에는 무수한 세계가 있고 그것은 ‘정토’이자 ‘낙토’


시방세계에 무수한 ‘불국토‘가 있고 그 곳에 일불이 존재한다는 생각;


동쪽: 아촉불(Aksobhya= 無怒)= 妙喜(Abhirata)세계

서쪽: 아미타불(Amitabha=無量光.Amitayus=無量壽)가 있으며 그 곳을 極樂세계(Suhamati)라 부른다.


* 한편, 사바세계= ‘불국토‘라고 하지 않는다.


[색신과 법신


부처님이 열반한 뒤에 부처님을 대신하는 것은 부처님이 남긴 가르침 뿐이다.( 유교경) = 法身= 부처님은 법을 몸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에서 부처님은 무한대한 공간에 침투한 존재로서의 법신= 비로자나불(Vairocana)  = 인간언어로 설법하지 않으나 광명을 발하여 보살의 입을 통하여 설법이 되고 = 형상으로서는 경문이 된다.

 

[삼신설

법,보,응



제4장 불교의 진리관


[법이라는 것

삼보의 두 번째인 法= 다르마 (Dhamma)=지킨다, 의지한다 의 뜻

다르마의 근원= 베다성전 = 영원불변의 법 = 지켜야 하는 ‘정의’=사후에는 복을 받음.


<경전에 의한 法의 정의>

1, 세존에 의해 잘 설하여 졌으며

2, (듣는 자가) 스스로 볼 수 있는 것

3,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非時)왔으며

4, 와서 보라는 것

5, (이상, 즉 열반에) 인도하는 것

6, 智者가 스스로 깨달은 것 (自內證)


<緣起法頌>

모든 것 (제법)은 원인에서 생긴다

진리의 체현자는 그 원인을 설법하신다

또 그것을 멎게하고 멸하는 ‘법’도 설하신다

위도한 수도자는 이렇게 설법하신다.


諸法從緣生

如來說是因

彼法因緣盡

是大沙門說


모든 현상이 여러거지 인연에 의하여 생기며 그 인연이 없어지면 그 같은 현상은 있을 수 없다는 연기설.


[연기와 사제법

.. 그때 세존은 처음 깨달음을 얻은 이래 칠일간 보리수 아래서 좌선하고 있었다. 칠일이 지난 뒤, 초저녁에 세존은 연기를 순역의 순서로 생각헸다.


無明에 의해 行이 있고

行에 의해 識이 있고

識에 의해 名色이 있고

名色에 의해 六入이 있으며

六入에 의해 觸이 있고

觸에 의해 受가 있으며

受 에 의해 愛가 있고

愛에 의해 取가 있으며

取에 의해 有가 있고

有에 의해 生이 있으며

生에 의해 노사와 憂悲苦惱가 생긴다.


[부처님의 입장

독화살의 경우


[네가지 대답방법


[法印-불교의 기치

부처님의 입장, 즉 불교가 목적으로 하는 바가 형이상학적 탐구보다 현실적 교통의 해결에 있다고 한다면 불교가 가르치는 진리(법)의 성격또한 저절로 분명해 진다.

. 3法印 (법인= 법, 즉 가르침의 표지)

. 4法印


(1) 諸行無常

이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고대 그리이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 ‘한번 발을 씻은 강물에 두 번 다시 발을 담글 수는 없다’

무상한 것이 무상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곳에 고통이 있다.

이 것이 인생의 진실이다.


(2) 諸法無我

‘我’= 원래 나 자신이다.

이처럼 실감에서나 철학적 사고에서나 자아의 부정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제법무아‘란 우리가 자기라고 생각하거나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는 내가 아니며 따라서 어디에도 나는 없다는 것이다.

= 자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집 = 죄악의 근원= 소유욕=求不得苦



(3) 一切皆苦 (일체는 다 괴로움이다)

苦=樂이 있으므로 있는 것. 즐거움= 괴로움의 씨앗이고 괴로움은 즐거움의 씨앗.

부처님은 ‘苦’의 원인을 찾았다. 그 구극에서 발견한 것의 하나가 ‘渴愛’라 불리우는 욕망 또는 집착(아집). 다시 거슬러 올라가면 ‘무명’= 진실에 대한 무지= ‘苦’의 원인




(4) 涅槃寂靜


모든 것이 생멸하는 것이라는 것을 앎으로 해서 그것을 초월할 때 거기에 모든 ‘苦’가 없어진 상태, 즉 ‘涅槃‘이 실현.

 


[제행과 제법의 연기

. 行

  원어= Samskara = ‘함께 모여서 만든다‘의 뜻



[法性-연기의 이치

.緣起 

1)프라티탸사무트파다 = Pratityasamutpada = 의해서 생기는 것, 또는 생기

  게 하는 것‘

2)프라티탸사무트파나 = Pratityasamutpanna= 의해서 생긴 것.(과거분사)


무상한 것, 무아한 것, 괴로움을 가져오는 것은 생명이 있는 것이며 ‘연에 의해 생긴것’


[대승불교의 진리


[제일의제와 세속제

깨달음의 체험은 타인에게 전할 수 없다. 그것은 언어표현을 초월해 있다. 언어로 표현된 것은 ‘二義的‘인 것에 불과.


대승불교는 깨달음 그 자체를 최고의 진리라는 뜻으로 ‘第一義 言帝‘

라 함.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