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ind Spots 블라인드 스팟 (盲點)
내가 못보는 내 사고의 맹점
Madeleine L.Van Hacke 메들린 L.반 헤케/ 임옥희 옮김/ 다산초당 간.
2007년11월
수많은 심리 실험관련 서적 중 일편.
당신의 잠자는 대가리를 삽자루로 내려치는 듯한 어떤 각성, 눈 뜨임 같은 것을 기대하는가?
읽어보면 각자의 느낌이 있을 것.
있다면, 그 각성은 온전히 당신만의 몫이다.
......
자동차 사이드미러만 보고 차선을 바꾸다 옆차와 키스하는 경우를 예를 든 것이 ‘맹점’의 일종이란다. 맞는 말이긴 하지만 그다지 드라마틱한 예는 아니지 않은가?
서문:
왜 똑똑한 사람들이 바보짓을 하는가
1장 생각의 렌즈를 잃어버려 저지르는 멍청한 실수
2장 사고의 오류를 깨닫지 못하는 인간심리의 비밀
3장 너무 익숙하면 보이지 않는다
4장 모든 인간에게 내재된 최악의 맹점에서 풀려나기
5장 주관적인 편견의 강력한 늪에서 빠져 나오기
6장 패턴안에 갇힌 사고, 패턴 밖의 열린 사고
7장 보이지 않는 고리를 찾는 추론의 사다리 타기
8장 증거 뒤에 도사린 위험한 오류의 함정
9장 의미있는 생각의 패턴을 발견하는 힘
10장 추상적 사고력이 낮은 천재도 있을까
p26
놀랍게도 사람의 마음은 80-90%정도는 각자의 의지대로 움직이지만 나머지 10-20%는 다르게 작용하기도 한다.
p28
인간에게는 무의식적으로 패턴을 추구해 찾아내려는 성향이 존재한다.
p29
하지만 각자가 스스로의 맹점을 인식하면 그에 대한 대처방법도 알 수 있다. .. 우리가 지닌 습관적 성향의 한계를 인식하면 충분히 보완이 가능하다.
보편적 세가지 맹점;
1.뭘 모르는 지 모른다
2. 전체를 놓고 부분만 본다
3. 자신의 결점은 보지 못한다
p.45
맹점 때문에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고 제대로 생각하지 못해 실수하기도 하는 어른들 역시 이런 불완전 함에도 불구하고 너그러이 포용해 줄 사람, 언제든 용서받을 수 있다고 위로해줄 사람이 필요하다. ..... 하지만 당신이 별로 해롭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알았으면 좋겠어요.
p52
생각하지 않는 맹점. 비판적 사고.
p53
멈춘 채 생각하기 좋은 때인 ‘생각할 기회’를 인식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 생각할 기회를 잘 포착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데 중요하다.
때론 하려던 일을 멈추고 다시한번 생각해봐야 하지만 우리는 그럴 필요성을 좀처럼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p.56
..학습자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지시대로 따르는 것이지만 그렇게 하면 동시에 생각하고 분석할 수 없다. 다시 말해 각 단계의 의미가 무엇이고 단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 분석하면서 동시에 생각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습관화된 생각.
‘물이 있다는 사실을 가장 나중에 알게 되는 건 물고기’
일상의 흐름에 완전히 빠져 지내다보면 우리 스스로 그런 일상에 빠져 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해 결국 한 번 더 생각하기가 힘들어진다.
p/57
이것은 자기가 무슨 일을 했는지 불현듯 깨달을 때 보이는 반응이다. 자신이 하고 있던 행동이나 본 것, 생각하던 것을 갑자기 의식하고 놀라서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보면 비로소 전혀 다른 측면이 눈에 들어온다. 이처럼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는 행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한 걸음 물러나’ 바라볼 필요가 있다.
p/58
자신의 관점에 갇혀 세상을 보면 타인의 생각이나 반응을 알아챌 수 가 없다. 자기 관점이라는 렌즈의 초점을 어느 정도 거리를 둔 채 대상에 맞추어야 비로소 맹목적인 주관적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
p61
대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몇 시간 혹은 며칠 간 시간적 여유가 잇기 마련이다. 바로 이런 여유를 가지고 좀 더 숙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p/65
판에 박힌 일상생활 속에서는 ‘잠깐 멈추고 생각해봐야할 시간’이라고 경고해줄만한 별다른 단서가 없기 때문에 늘 하고 있는 일에 대하여 한 번 더 생각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
그래야만 자신이 물속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물고기의 상황을 피하고 정기적으로 물위로 뛰어올라 지금 헤엄치는 곳이 어디인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p67
성찰을 통해 풍부해 지는 인생
p/83
다른 사람에게 불만을 토로하기 전에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이유를 분명히 알아야한다.
p91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태도는 보는 즉시 지적해줄 필요가 있다
p99
마땅히 배워야 할 것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다양성을 인정하다보면 반드시 배워야 할 것들에 소홀해질 수도 있다’고 믿는다.
p100
우리가 진심으로 다양한 관심사와 그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능을 모두 소중히 여길 때에만 비로소 우리와 다른 사람들도 똑같은 지적 존재로 여기게 될 것이다.
p/107
우리의 감각은 익숙한 자극은 무시하고 새로운 자극만 감지한다.
조금만 지나면 익숙해진다.
적응력은 엄청난 장점이자 자산이다.
p110
창조적인 사람들을 인터뷰한 결과 그들이 독창적으로 사고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감정과 마찬가지로 생각은 우리 의식 속을 너무나 빠르게 스치듯 지나가기 때문에 포착하기가 매우 힘들다. 자신의 사고과정을 탐색해보기 위해 어느 정도 물러서서 바라본 적이 없었던 것이다. 결국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 지, 무엇을 생각하는 지 알아채지 못한다.
p112
스스로 무슨 생각을 하는 지 엿보거나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무언가에 대하여 우리 마음속에서 어떤 생각이 오가는지 알려면 의도적으로 노력해야한다.
...의식적인 사고나 감정, 믿음이 마음속에 또렷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머무르는 시간은 극히 짧다.....해변에 남겨진 발자국처럼...그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사고도 다음번 사고나 감정에 의해 지워지거나 주의력이 분산되며 씻겨 없어진다. 바로 그 때문에 마음 속에 떠오른 것을 바로 기록해 둠으로써 ‘의식의 흐름’을 포착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p125
다른 사람이 보면 놀랄만한 일도 이미 그 일에 친숙해진 우리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p137
믿을 만한 객관적 조언자의 필요성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진심을 말하기기 두려워 꺼리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자신의 행동이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전혀 모르는 경영자도 있다.
p/141
학습된 무기력
풀어줘도 도망치지 못하는 개 신세...,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누군가가 곤경에 처한 경우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빠져 나올 방법이 많은데도 정작 본인은 학습된 무기력 때문에 전혀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P142
재앙환상: 만약 자신의 행동이 바뀔 경우 우려하던 일이 벌어질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하는 환상.
P.145
자신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라.
P151
알게되면 저절로 변한다
로버트 케건은 진정으로 자신을 안다는 것은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라기보다는 그런 정보를 바탕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P159
타인의 관점을 취하지 못하는 맹점:
남의 말을 경청하는 편이 도움이 된다.
여자의 성향; 고충토로
P180
우리 자신의 도덕적 기준이 전혀 흔들리지 않은 채 전혀 다른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 윤리철학자들은 타인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우리와 타인을 정서적으로 연결해주는 진정한 토대하고 주장한다.
P189
창의력에 관한 책을 보면 사람들이 경직된 사고를 하지 않는다면 더욱 창조적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창의적 사고는 우연히 떠오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창의성 전문가들은 틀에 박힌 범주 안에서 생각하려는 일반인들의 사고경향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P212
성급한 결론으로 비약하는 맹점
어떤 진술이 참일 때 그 역도 참일 것이라고 가정하는 성향 때문에 어른들은 논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실수를 많이 한다. 일상생활에서는 잘 적용되던 전략이 논리문제에서는 우리를 함정에 빠뜨리는 것이다.
P233
비판적 사고나 논리적 추론.. 비판적 논쟁이나 연역적 추론을 많이 해본 사람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P236
그는 우리의 직관적 판단이 무의식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사실상 경험의 깊은 우물에서 길어 올린 것 일 때 올바를 확률이 높다고 말한다.
P291
믿고 싶은 욕망
사람들이 특이한 것을 믿는 이유는 그냥 그렇게 믿고 싶기 때문이다. 그런 믿음을 통해 사람들은 희망을 얻고 자신의 삶을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고 느낀다
P305
데밍이 강조하듯이 근본적으로 우리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결과에 대해 비난하는 것은 매우 비도덕적인 태도이다.
P309
예상하지 못한 결과의 사례.
전혀 의도하지 않은 결과.
'雜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고정관념을 깨뜨릴 심리실험45가지 (0) | 2007.12.29 |
---|---|
고슴도치의 우아함, 뮈리엘 바르베리 (0) | 2007.12.25 |
영혼의 산. 가오싱젠. (0) | 2007.11.03 |
시크릿 패밀리, 데이비드 보더니스, 생각의 나무 (0) | 2007.11.03 |
세계공화국. 가라타니 고진. 제3부 세계경제편 (0) | 2007.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