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독해, 세일러, 09년3월, 위즈덤하우스 경제독해, 세일러, 위즈덤하우스 09년3월15일 초판발행이니 무척 따끈한 책. 세일러는 필명. (뱃놈이란 뜻인가?) 요는 세계GDP의 1/4을 차지하는 미국 경제가, 말인 즉, ‘미국(적)인’들이 버는 것보다 많이 소비하는 구조가 넘치고 쌓여 세계 경제가 이 지경이 되었다는 논지. (p 257) 빌린 돈으로 달 나라가.. 雜讀 2009.03.27
아웃라이어. 말콤 글래드웰 아웃라이어. 말콤 글래드웰. 김영사 2009. Gradwell이라는 이름, 느낌이 좋다. Glad + Well, 즉 “기쁘고, 또 좋~은” 이란 뜻 아닌가? 콜린 파웰 의 집안과도 인척관계에 있다고 한다. 두 사람 모두 ‘자메이카’에 그 조상의 뿌리를 두고 있다.. 아웃라이어 Outlier란 번역의미는 ‘ 따로 떨어져 나온 것, 다른 대.. 雜讀 2009.02.20
제국의 미래. 에이미 추아 제국의 미래, 에이미 추아, 2008. 비아북 원제 Day of Empire.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제국이란 , ‘황제’ 즉 ‘왕중의 왕’이 다스리는 나라, 달리 대적이 용이하지 않은 초강대국이다. 지금은 ‘U.S.A’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은 불문가지. 저자는 인류 역사 속의 초강대국을 하나하나 소개하면서 그 ‘.. 雜讀 2009.02.07
로드, 코맥 맥카시 로드, 코맥 매카시 (The Road, Cormac McCarthy) 2007년 퓰리처상 수상작! 이라고 큼지막한 느낌표. 갖가지 광고성 코멘트로 책의 앞 뒷장이 도배되어있다. 출판사 사장이 도배쟁이 출신인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과유불급.. 스티븐 킹, 오프라 윈프리의 줄 이은 찬사에 국내 소설가 모모씨들의 멋진 코멘트.. 그.. 雜讀 2009.01.27
자본주의로의 험난한 여정. 장덕준. 자본주의로의 험난한 여정 한울아카데미. 장덕준 . 2008년11월 1991년12월25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해체 이후 소련은 러시아공화국을 포함한 15개의 공화국들로 분리되었다. 대통령 재선전에 나서 보드카에 취해 무대에서 춤을 추던 보리스 옐친의 시대는 간지 오래고 – 그도 이미 죽었.. 雜讀 2009.01.02
월 스트리트 게임의 법칙 월 스트리트 게임의 법칙. 존랄프.피터트룹/ 위즈덤하우스 Wall Street The Rules of the Game 구성과 내용 모두 엉망인데다 그다지 건질 것도 없다. 물론, 권위와 돈에 대한 풍자인 것은 분명한데, 그런 코믹 스토리를 읽고 한가 하게 웃고 있을 시간이 없지 않은가? (올해 잃은 돈이 얼마인데..) 저 고매한, 월 스.. 雜讀 2008.12.31
그레이트 게임. 피터 홉커크 그레이트 게임. The Great Game.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숨겨진 전쟁. 피터 홉커크/사계절 2008년 8월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 키르기즈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이라크 옆에, 이슬람 시아파 이란과 힌두교 인도 사이에 끼어 밀려 올라가 동방정교 러시아 라.. 雜讀 2008.12.31
블랙 스완,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동녘사이언스 블랙스완 The Black Swan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동녂사이언스 2008년 ‘스완’swan= 白鳥 라고 ‘번역’된다. 블랙 스완은 => ‘검은 백조’가 된다?.. 차라리 ‘검정색 백조’ 나 ‘검정백조’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번역이다. 백조는 검을 수 없다. 왜? 백조니까. 따라서, 검은 백조라고 하면 백조 아.. 雜讀 2008.12.01
발칙한 경제학. 스티븐 랜즈버그 발칙한 경제학. 스티븐 랜즈버그/ 웅진 지식하우스 원제: More Sex is Safer Sex 제목 처럼 ‘발칙’하다고 내뱉을 만큼 과격하지는 결코 않다.. ‘웅진 지식하우스’ 라는 출판사는 직원들 수를 좀 줄여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만 이런 무가치한 책을 양산하는 대신 단 서너권의 영양가 있는 책만을 선.. 雜讀 2008.11.01
생물과 무생물사이. 후쿠오까 신이치. 생물과 무생물사이 후쿠오까 신이치. 은행나무/2008 P5. 생명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자기를 복제하는 시스템이다. 20세기의 생명과학이 도달한 답 중 하나가 이것이었다. 1953년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겨우 천 단어 (한 쪽 정도)의 짧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그 논문에는 DNA가 서로 역방향으로 꼬인 두 개.. 雜讀 2008.10.26